통증이 없는 왼쪽 유방의 멍울
- 하와유외과 유방암 진단 사례
본 진단사례는 내원 전 다양한 문의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와유외과 임종원입니다.
오늘 유방암 진단사례는 우연하게 좌측 유방에 혹이 만져져서 내원하신 30대 중반 젊은 여성분의 사례입니다.
간단한 문진을 작성하신 후 유방촬영과 유방초음파 검사를 함께 진행하기로 하였습니다.
먼저 유방촬영 영상을 확인한 결과 좌측 유방에 국소적인 비대칭 음영이 확인되었습니다.
비대칭 음영이란?
유방의 양측을 서로 비교하였을 때 다르게 보이는 영역을 의미하며 실제로 초음파로 확인하여 병변의 여부를 평가하게 됩니다.
좌측 유방의 만져진 멍울은 유방초음파로 확인하였을 때 경계가 불규칙하며
내부에도 혈류가 증가한 유방암을 의심할 수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탄성초음파로 확인해 본 결과에서도 주변 정상 조직과 비교하여 월등하게 더 단단한 조직성분임을 파악하였고
종합적으로 조직검사가 필요한 혹임을 판단할 수 있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환자분께서 인지하지 못하셨던 겨드랑이 부위에도 커져 있는 임파선을 확인하였고,
유방암으로 인한 전이가 의심스러운 병변이였습니다.
충분한 국소마취를 통하여 통증없이 안전한 상태에서
만져진 유방의 멍울과 겨드랑이 임파선에 대하여 총조직검사를 시행하는 과정입니다.
총조직검사 결과 유방암과 겨드랑이 임파선 전이로 진단되어
유방암 수술 전 검사와 치료 방법 등에 대하여 설명을 드린 후 상급 대학병원으로 연계하여 드렸습니다.
국가암 통계 기록을 살펴보면 유방암은 30대에서 50대에 이르기까지 젊은 연령층에 꾸준히 발생하고 있습니다.
유방암의 예방법은 생리 주기가 끝난 후 이루어지는 자가 진찰과 증상이 없어도 시행하는 정기적인 검진, 이 두가지 뿐입니다.
하와유외과는 고분별능 초음파를 통하여 발견한 유방 종괴를 유방암 위험도에 따라 분류하는
BI-RADS 시스템에 의거하여 안전하게 총조직검사하여 진단하고 있습니다.
체계적인 진료와 정확한 진단을 통하여 연속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항상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진단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적관찰하던 갑상선 결절의 변화- 하와유외과 갑상선암 진단사례 (0) | 2020.10.20 |
---|---|
검진이상 소견 미세석회화 조직검사- 하와유외과 유방암 진단 사례 (0) | 2020.10.19 |
혹이라고 다같은 혹이 아닙니다. (0) | 2020.09.17 |
우연히 만져진 왼쪽 유방의 멍울- 하와유외과 유방암 진단 사례 (0) | 2020.09.17 |
유방 미세석회 조직검사- 하와유외과 유방암 진단 사례 (0) | 2020.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