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은 남성과 여성 모두 있지만 여성의 경우 호르몬의 영향으로 인해 유방이 발달되어 있습니다. 사춘기 때 호르몬의 분비가 증가하면서 발달되는데, 나이가 들면서 유방에도 다양한 질환이 나타나게 됩니다. 유방양성종양 질환으로는 유두종, 유방낭종, 지방괴사, 섬유선종 등이 있습니다.
유두종이란
유두종은 유즙이 나오는 유관에 생기는 유두 모양의 작은 종양입니다. 대부분 0.5cm 이하의 작은 크기로 발생하기 때문에 자가검진을 통해서도 발견하기가 어렵습니다. 종양이 유선을 막기도 하고 혹 자체에서 분비물을 만들어 유두로 배출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유두를 자극하지 않은 경우에도 유두에서 분비물이 나올 때, 한 쪽 유두에서 피가 섞이거나 끈적거리는 분비물이 나올 때 유두종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유방낭종이란
유방낭종은 생리적 유방결절이라고도 부르며 유방조직 내에 생기는 단단한 원형의 물주머니를 말합니다. 20~30대 여성에게 흔히 발생하며 여성호르몬의 농도에 영향을 받는 질환입니다. 대개 통증 없이 다발성으로 발생하며,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유방이 꽉 찬 느낌과 압통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발생하는 원인은 아직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생리 주기의 에스트로겐 수준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폐경 이후 에스트로겐 분비가 멈추면 증상도 완화됩니다. 유방촬영검사나 유방초음파검사를 통해 확인이 가능합니다.
지방괴사란
유방 지방괴사는 죽거나 손상된 유방 조직에서 발생하는 양성종양입니다. 유방 조직이 손상되면조직의 지방 세포가 죽고 낭종이라고 하는 작은 주머니를 형성하는 기름을 방출합니다. 일반적으로 통증은 유발하지 않으며 지방괴사로 인한 덩어리와 유방암으로 인한 덩어리를 구별하는 것이 어려워 정확한 진단을 위해 유방생검을 통한 조직검사를 시행해야 하는데요. 실제로는 유방암과 관련이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지방괴사가 발생하는 대표적인 원인에는 유방의 외상이 있습니다. 이 밖에 유방 수술, 염증성 질환, 유관 확장증, 파라핀이나 실리콘 등의 주입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는데 특별한 이유 없이 생기는 경우도 많습니다.
섬유선종이란
젖을 분비하는 유선 말단 부위의 과다한 증식과 이로 인한 유방 조직의 변형으로 인해 발생하는 병변입니다. 거대 섬유선종, 연소성 섬유선종 등으로 구분되며 젊은 여성, 특히 20대 초반에서 30대 여성에게 주로 발생합니다. 섬유선종을 진단하기 위해 유방촬영검사와 유방초음파검사를 시행하게 되며 확진을 위해 맘모톰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섬유선종이 발생하면 경계가 분명하고 딱딱한 고무 같은 멍울이 가슴에서 만져집니다. 유방 내에서 잘 움직이며 생리 주기에 따라 크기가 변화하기도 합니다. 처음에는 만져지지 않는 정도의 크기지만 이후 반년만에 2배 이상 커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주로 하나만 생기지만 간혹 여러 개가 생길 수 있으며 때로는 아주 커다란 덩어리가 발견되기도 합니다.
유방에는 이처럼 다양한 양성질환이 생길 수 있습니다. 정기적 유방검사를 통해 질환을 예방하는것이 좋으며 만약 통증이 느껴지거나 평소와 다른 증상이 느껴진다면 신천동유방외과 잠실연세하와유외과에서 검사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유방검사는 촬영검사나 유방초음파검사 등을 통해 병변의 확인이 가능하며, 유방암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조직검사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유방클리닉 > 유방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이동유방외과 유방에 생긴 종양, 섬유선종 (0) | 2024.02.28 |
---|---|
잠실유방외과 멍울이 만져지면 유방암? (0) | 2024.02.28 |
신천동유방외과 유방에 종양, 섬유선종 제거는? (0) | 2024.02.07 |
잠실유방외과 유방암 외에도 질환이? 다양한 유방 질환 (0) | 2024.02.06 |
방이동유방검사 초음파검사 결과 유방낭종 진단 받은 경우 (0) | 2024.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