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에 멍울이 만져지면 대부분 유방암이라고 생각하여 불안하게 됩니다. 하지만 멍울이 만져진다고 해서 무조건 유방암이 아닐 수 있습니다. 유방암은 유방에 악성 종양이 생기는 것이지만 양성 종양이 생겨 멍울이 잡힐 수도 있습니다. 양성 종양에는 유두종, 유방낭종, 지방괴사, 섬유선종 등이 있습니다.
유방낭종은 생리적 유방결절이라고도 부르며 유방조직 내에 생기는 단단한 원형의 물주머니를 말합니다. 20~30대 여성에게 흔히 발생하며 여성호르몬의 농도에 영향을 받는 질환입니다. 대개 통증 없이 다발성으로 발생하며,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유방이 꽉 찬 느낌과 압통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발생하는 원인은 아직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생리 주기의 에스트로겐 수준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폐경 이후 에스트로겐 분비가 멈추면 증상도 완화됩니다. 유방촬영검사나 유방초음파검사를 통해 확인이 가능합니다.
유두종은 유즙이 나오는 유관에 생기는 유두 모양의 작은 종양입니다. 대부분 0.5cm 이하의 작은 크기로 발생하기 때문에 자가검진을 통해서도 발견하기가 어렵습니다. 종양이 유선을 막기도 하고 혹 자체에서 분비물을 만들어 유두로 배출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유두를 자극하지 않은 경우에도 유두에서 분비물이 나올 때, 한 쪽 유두에서 피가 섞이거나 끈적거리는 분비물이 나올 때 유두종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지방괴사는 유방 조직이 죽거나 손상되어 발생하는 양성 종양입니다. 유방 조직이 손상되면 조직의 지방 세포가 죽고 낭종이라고 하는 작은 주머니를 형성하는 기름을 방출합니다. 일반적으로 통증은 나타나지는 않으며 지방괴사로 인한 덩어리와 유방암으로 인한 덩어리를 구별하는 것이 어려워 정확한 진단을 위해 유방생검을 통한 조직검사를 시행해야 하게 됩니다.
지방괴사가 발생하는 대표적인 원인에는 유방의 외상이 있습니다. 이 밖에 유방 수술, 염증성 질환, 유관 확장증, 파라핀이나 실리콘 등의 주입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는데 특별한 이유 없이 생기는 경우도 많습니다.
섬유선종은 젖을 분비하는 유선 말단 부위의 과다한 증식과 이로 인한 유방 조직의 변형으로 인해 발생하는 병변입니다. 거대 섬유선종, 연소성 섬유선종 등으로 구분되며 젊은 여성, 특히 20대 초반에서 30대 여성에게 주로 발생합니다.
유방에는 다양한 질환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멍울이 만져진다고 해서 유방암이라 생각되어 두려워하지 마시고 양성 종양이라면 잠실유방외과 연세하와유외과에서 맘모톰으로 제거해낼 수 있습니다. 맘모톰 시술은 3mm 이하의 바늘로 진행하여 흉터가 거의 보이지 않아 안전하게 치료가 가능하며 정상 조직의 불필요한 손실을 최소화하고 있습니다. 유방 검사는 촬영 검사, 초음파 검사, 세침 검사를 통해 꼼꼼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니 병원에 내원하셔서 검사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유방클리닉 > 유방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잠실역외과 가슴에서 만져지는 혹의 정체 유방양성종양 (0) | 2024.03.18 |
---|---|
방이동유방외과 유방에 생긴 종양, 섬유선종 (0) | 2024.02.28 |
신천동유방외과 유방양성종양 어떤 것들이? (0) | 2024.02.27 |
신천동유방외과 유방에 종양, 섬유선종 제거는? (0) | 2024.02.07 |
잠실유방외과 유방암 외에도 질환이? 다양한 유방 질환 (0) | 2024.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