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p4SNa/btszXnMZ985/5etVRKBo6GKLWicglvvCk0/img.jpg)
연말이 되면서 건강검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만 40세 이상 여성이라면 2년에 한 번씩 시행하는 유방 엑스레이(촬영술)가 검사 항목에 포함되어 있기에 정기적으로 진행하시곤 하는데요, 그러나 엑스레이 검사 시에 통증이 발생하기 때문에 유방초음파검사만 받으면 안 되냐고 여쭤보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초음파검사와 엑스레이 검사는 확인할 수 있는 항목이 다릅니다. 두 가지 검사를 모두 진행하자고 하였을 때 자칫 과잉진료가 아닌가 생각하시는 분들을 위하여 오늘 송파유방검사 연세하와유외과에서 유방초음파검사와 유방 엑스레이(촬영술)가 무슨 차이점이 있는지 말씀을 드려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OKLvF/btszU4mF15Z/V6msCHyJgw0dLij2rkX7K1/img.jpg)
유방 엑스레이(촬영술)
먼저 가슴에 멍울이 만져지거나 통증이 있어 유방외과에 내원하시게 되면 가장 기본적으로 시행하는 검사는 바로 엑스레이 검사입니다. 이는 유방 내부의 구조를 촬영하여 유방암과 같은 이상 증상을 관찰하는 검사로 넓은 판에 가슴을 올려 최대한 압박하여 단면을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통증이 느껴질 정도로 압박을 하는 이유는 유방 단면이 얇아질수록 정확한 검사 결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B1GE/btszQDXXG1f/Jwv1WWyxGXDMRI6Pzez9lk/img.jpg)
엑스레이 검사로 알 수 있는 항목
- 유방 조직 이상
유방 내부의 종양, 치밀도 등 다양한 형태의 조직 이상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종양의 크기 및 위치
종양이 있다면 어느 정도의 크기인지, 어디에 얼마큼 자리 잡고 있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만 종양 크기가 작다면 확인이 잘되지 않습니다.
- 유방 밀도
유방 조직이 얼마나 치밀한지 알 수 있습니다. 치밀도가 높을수록 촬영 사진이 하얗게 나타나며 그렇지 않는다면 검은색으로 나타납니다. 유방 밀도 확인이 필요한 이유는 유방암 조직이 일반적으로 밀도가 높은 백색으로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 석회화
초기 유방암의 신호일 가능성이 있는 석회화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유방초음파로는 발견하기 어렵기에 엑스레이 검사가 필요한 이유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oQe0n/btszQCrdfnf/XUPSnLkdkYzBkuVJqUP4HK/img.jpg)
이처럼 유방 엑스레이 검사는 다양한 항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유방암에 대한 가장 기본적인 검사인 만큼 진단에 필요한 많은 부분을 얻을 수 있기에 시행하는 이유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다만 20~30대 젊은 여성은 유방의 치밀도가 높은 경우가 많기에(치밀 유방) 엑스레이 촬영 시 전반적으로 하얗게 보이는 일이 많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라면 유방 엑스레이로는 이상을 발견하기 어렵기에 유방초음파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가끔 송파유방검사 진료 시 유방초음파만 원한다고 말씀을 하시는 분들이 계신데요, 초기 유방암의 신호일 수 있는 석회화 병변을 확인하기 위해서라도 초음파검사만 단독으로 시행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tHeR8/btszOMVaAge/c01cV28oNI6V5kzYKxBXbK/img.jpg)
유방초음파검사
유방초음파검사는 유방 내부 종양의 위치, 크기, 모양 등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하는 검사 방법입니다. 엑스레이 촬영으로도 종양의 위치나 크기 등을 확인할 수 있지만 작은 크기인 경우 정확한 확인이 어려운 경우가 많기에 초음파검사를 시행하게 됩니다.
이 외에도 엑스레이 검사에서 이상이 발견된 경우 혹은 유방 치밀도가 높아 전반적으로 사진이 하얗게 나온 경우에 해당 검사를 진행하게 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Z4Mg3/btszYnsbCYh/xa6wmIDkiEJgWRmCZCRzMK/img.jpg)
초음파검사로 알 수 있는 항목
- 종양의 크기 및 위치
종양이 있다면 어느 정도의 크기인지, 어디에 얼마큼 자리 잡고 있는지 등을 엑스레이 검사보다 비교적 정확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종양의 경계면이나 특성 등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유방암과의 구분을 하는데 매우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 혈액 공급량
유방암세포는 많은 혈액을 필요로 하기에 종양의 혈액 공급량이 많으면 암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초음파검사는 종양의 혈액 공급량을 확인할 수 있기에 판별이 어느 정도 가능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sqa3D/btszU4AaRU9/GITKGRUfLxYcas2BEzELO0/img.jpg)
엑스레이 검사와 초음파검사는 서로 상호보완적인 관계라고 이해하시면 빠를 것 같습니다. 어느 하나 필요하지 않은 검사가 없기에 보다 정확한 검사 결과를 위해서 두 가지 모두 시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엑스레이 검사에서 정상처럼 보이더라도 초음파검사를 진행해 보면 암이 의심되는 병변이 보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그 반대의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나에게 필요한 검사가 무엇인지 스스로 판단하기보다는 송파유방검사 의료진과 상의하는 것이 올바르다고 말씀을 드립니다.
![](https://blog.kakaocdn.net/dn/FbTq3/btszRSOhjLh/JLdgmyu566mcKmeNiToyBK/img.jpg)
연령별 유방 검사 주기
유방암 국가 암 검진은 만 40세 이상 여성에게 권고되고 있기에 2030대 젊은 나이라면 받지 않아도 괜찮지 않을까라는 의문을 가지는 분들이 계실 겁니다. 한국유방암학회의 지침인 연령별 유방 검사 주기는 이러한데요.
30세 이상
|
매달 유방 자가 검진
|
35세 이상
|
2년 간격 의사에 의한 임상 검진
|
40세 이상
|
1-2년 간격 임상 검진 및 유방촬영술
|
고위험군
|
의료진과의 상담
|
![](https://blog.kakaocdn.net/dn/2Sdv7/btszUzApi6T/hFIf38UCkzI7rSKmxkuM4K/img.jpg)
별다른 증상이 없거나 나이가 젊은 2030대 여성이라면 유방초음파검사를 먼저 실시하되 유방암 고위험군에 속하거나 증상이 느껴진다면 연령대에 관계없이 의료진 판단하에 필요한 검사를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오늘 송파유방검사 연세하와유외과에서 유방초음파검사와 엑스레이 검사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가장 중요한 것은 잊지 않고 정기적으로 시행하는 자가 검진과 병원 검진이므로 위 내용을 참고하시어 꾸준히 관리 및 건강을 지켜나가시기 바라겠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niXID/btszXpRAPWr/n8K6THCihQZA0vyiA1ePz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GUWXW/btszM0F6fzy/N6y4aK7vg5NuQEHqMyUxU1/img.jpg)
'유방클리닉 > 유방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동구유방외과 맘모톰 과잉진료? 꼭 안 해도 되는 경우 (0) | 2023.11.08 |
---|---|
삼전동외과 경구피임약 복용과 유방암 발생의 상관관계 (0) | 2023.11.08 |
잠실여의사병원 맘모톰 하면 안 되는 경우 꼭 확인! (0) | 2023.10.31 |
송파외과와 알아보는 유방암 예방 식습관 (0) | 2023.10.30 |
잠실여성검진 가슴보형물 유방암 걸릴 수 있다? (0) | 2023.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