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실외과]
유방 염증, 언제 발생하는 것일까?
유방은 여성이 가지고 있는 수유 기관으로써,
유방체와 피하조직으로 구성된 반구형의
기관입니다. 주된 역할은 다들 알고 계시겠지만,
모유를 분비해 아기에게 영양을 공급하는 것입니다.
그런 만큼, 아이를 가진 산모분들이라면
유방 건강에는 항상 신경을 쓰고 관련 질환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그리고 하위 기관으로는 유두, 유륜, 유선,
유관이 있습니다.
유두 : 유방 첨단에 위치한 돌기이며,
유관의 배출구입니다.
유륜 : 유두를 둘러싸고 있으며,
주변 피부와는 다른 색상을 띄고 있습니다.
유선 : 젖이 분비되는 샘입니다. 여러 개의
유선 및 주변조직이 모여 소엽을 이루고,
이 소엽은 유관과 연결됩니다.
유관 : 유선에서 분비된 젖의 이동
통로입니다. 유두를 통해 배출됩니다.
더불어 유방 관련 질환으로는 유선염,
유방농양, 섬유선종, 유두선종, 유방암 등
여러 가지가 있는데요.
오늘 알려드리고자 하는 것은 모유수유 중인
산모분들이 알아두어야 하는 질환, 유선염에
대해서입니다!
유선염은 위에서 말씀드린 유선 조직에 염증이
생긴 상태입니다. 유방염이라고도 불리는
분들이 있는데. 유방염은 유선을 비롯한 유방에
생긴 모든 염증성 질환을 말하며 유선염은
유선 조직에만 나타난 염증성 질환입니다.
그리고 유선염이 나타나면 마치 몸살감기에
걸린 것처럼 아파져, 젖몸살이라고도 불리는
편입니다.
혹시 모유수유를 하다 보니 아래 같은 증상이
나타나게 되었다면 유선염을 의심해야 합니다.
✔ 38.5도 이상의 고열이 생기고 한기가 드는 경우
✔ 유방 일부가 붉게 변하고 열감이 느껴지는 경우
✔ 온몸이 쑤시고 감기 걸린 것처럼 아픈 경우
✔ 붓고 아프고 콕콕 찌르는 느낌이 드는 경우
그런데, 유선염이 발생하는 원인은 무엇일까요?
일반적으로 생각하면 외상을 떠올리실 수
있습니다. 보통 아이에게 수유를 할 때, 아이가
유두를 강하게 깨물어 상처가 생기고 그 상처를
통해 세균이 유선 안으로 침투하는 경우와 같이
말입니다.
이로 인해 나타난 유선염은 급성 유선염이라
하며, 원인이 되는 세균은 황색포도상구균이
가장 흔한 편입니다.
그 외에도 수유법이 잘못된 경우, 수유 횟수가
너무 적거나 시간이 짧은 경우에도 조심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꽉 끼는 속옷을 착용하시는
분들도 사이즈에 맞는 속옷을 착용하셔야 합니다.
유선염을 치료하는 방법은?
우선 유선염의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검사를
시행하고, 상태에 따라 적절한 치료를 시행합니다.
일단 증상 초기라면 항생제를 이용한 약물치료를
실시하고, 따뜻한 찜질을 해주는 것이 적당합니다.
그리고 수유 15분~20분 전에 따뜻한 팩으로
찜질을 해준 후 모유수유를 해주는 것도 효과적
인데요.
유선염을 앓고 있을 때 아이에게 수유를 해주는
것은 치료에 도움이 되고 아이의 건강에도
별다른 해를 끼치지 않으나 만약 신경이
쓰인다면 유축기를 이용해 꾸준하게 유즙을
배출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모유수유클리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동구외과] 유선염 걸렸을 때, 수유 중단 NO! (0) | 2021.02.04 |
---|---|
올바른 단유관리, 남양주외과와 함께 하세요! (0) | 2021.01.27 |
수유기, 비수유기의 유선염의 원인은? [강동구유방외과] (0) | 2020.12.28 |
모유 수유의 중요성을 알아보자. [연세하와유외과] (0) | 2020.12.22 |
방이동외과 유선염 치료 효과를 높이려면? (0) | 2020.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