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의 만져지는 멍울
- 하와유외과 갑상선암 진단사례
목에 멍울이 만져진다는 것은, 목에 종양이 생겼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종양이 무엇인지에 따라서 위험성이 달라집니다.
만약 그 종양이 가벼운 결절이라면 간단한 치료만으로도 개선되겠죠. 그러나 만약 그 종양이 암세포 같은 악성종양이라면? 서둘러 치료하지 않으면 암세포가 전신에 퍼져 위험성이 높아지겠죠.
이를 정확하게 구분하려면, 병원을 방문해 정밀한 검진을 받아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본 진단사례는 내원 전 다양한 문의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잠실연세하와유외과입니다.
오늘은 30대 초반 여성분의 갑상선 유두암 진단사례를 소개하겠습니다.
올해 3월부터 목의 멍울이 만져졌지만, 보통 알고 있는 이물감이나 불편감 등의 자각증상은 없다고 하셨습니다.
올해 가을 건강검진차 갑상선 초음파 검사를 받으셨고 전문병원 진료를 권고 받아 저희 병원에 방문하게 되셨습니다.
갑상선암을 의심할 수 있는 증상들은 다양합니다.
먼저 오른쪽 목에 튀어나와 있는 만져지는 멍울이 촉진되었고, 자세히 확인해보니 간헐적으로 이물감도 있으셨다고 하셨습니다.
오른쪽 갑상선을 거의 차지할 정도의 약 3cm 남짓 되는 크기의 결절이 확인되었습니다.
결절 모양은 불규칙하고 그 내부는 불균질할 뿐만 아니라 혈관 확장이 동반되어 있어 조직검사가 필요한 결절임을 설명드렸습니다.
불편감을 느끼시지 않는 상태에서 안전하게 조직검사를 완료하였습니다.
갑상선 조직검사 결과
갑상선 유두암으로 진단되었고,
추가적인 검사와 치료계획이 필요함을 설명드리고 대학병원으로 의뢰 드렸습니다.
2016년 국가 암통계를 살펴보면,
20~30대 젊은 연령의 여성에서도
갑상선암 발생이 많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갑상선암의 진행이 느리고 다른 암과 비교하여 생존율이 높다고 하지만,
정확한 진단을 통하여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저희 하와유외과는 고분별능 초음파를 통하여 발견한 갑상선 결절을 갑상선암 위험도에 따라 분류하는 K-TIRADS 시스템에 의거하여 안전하게 조직검사하여 진단하고 있습니다.
체계적인 진료와 정확한 진단을 통하여 연속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항상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진단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른쪽 가슴의 멍울 - 하와유외과 유방암 진단 사례 (0) | 2021.01.07 |
---|---|
우연히 발견한 멍울 - 하와유외과 갑상선암 진단사례 (0) | 2021.01.04 |
절개수술과 맘모톰 - 하와유외과 맘모톰 수술사례 (0) | 2020.12.09 |
목의 이물감과 결절 크기 변화 - 하와유외과 갑상선암 진단사례 (0) | 2020.12.08 |
왼쪽 가슴의 움푹 들어간 피부와 유방통 - 하와유외과 유방암 진단 사례 (0) | 2020.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