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파구유방외과 임신 중에도 유방암 검사 가능한가요?
![](https://blog.kakaocdn.net/dn/bjqn6M/btrT9z89yTC/rwlohJK6u3soHQACof0au1/img.jpg)
유방암이란 유방 밖으로 퍼져 나가 생명까지 위협할 수 있는 악성종양으로 유방에 있는 세포라면 어떤 것이든 암세포가 될 수 있습니다. 보통 유관과 유엽에 존재하는 세포에서 기원하며 유방암 발생률 역시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인데요.
유방암이 발생하는 원인에는 유전적 요인이 많은 비율을 차지합니다. 어머니나 자매 모두 유방암이 없는 경우에 비해서 어느 한쪽이라도 유방암이 있으면 암으로 진단될 가능성이 2~3배 높아지게 됩니다. 또 양쪽 모두 유방암이 있으면 8~12배까지 높아질 수 있어 정기적인 검진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NnLWb/btrUapLt3eq/bYYTY1YiwBvaQ8ibIjYRTk/img.jpg)
이런 유전적 요인 외에도 에스트로겐의 영향을 받아 유관 세포가 증식하고 유방암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이른 초경과 늦은 폐경으로 여성호르몬에 오래 노출되는 경우나 폐경 이후 장기적으로 여성호르몬을 투여 받은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40세 이후가 되면 유방암 발생 빈도는 더욱 높아지며 자녀가 없거나 30세 이후에 처음 출산을 한 여성, 그리고 출산 이후 모유 수유를 하지 않은 여성들 역시 유방암 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보고된 바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StPnl/btrT9XaMWeU/GacPvQm8LfwYqk3kgMUd6k/img.jpg)
가장 중요한 것은 유방암이 발생 초기엔 특별한 증상이 없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즉각적인 대응을 하지 못하고 놓치게 되는데요. 가장 흔하게 보이는 증상에는 통증 없는 멍울이 만져지는 것입니다. 이후 질환이 계속 진행될 경우 겨드랑이에서도 덩어리가 만져지게 되고, 유두에서 피 섞인 분비물이 나오거나 잘 낫지 않는 습진이 생기기도 합니다. 또한 유방 피부가 움푹 패이거나 유두 함몰이 발생한 경우, 그리고 유방의 부종으로 인해 피부가 오렌지 껍질처럼 두꺼워지는 경우에도 유방암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yJfqh/btrT5sJWbTn/L0A5Ujl0t0ZJ0O8qwAyvWk/img.jpg)
다만 유방암 환자의 70% 이상이 자가진단, 자가검진을 통해 유방암을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고 있습니다. 유방을 스스로 직접 만져서 이상 증세가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으로, 매 달 생리가 끝나고 2일에서 7일 정도가 지난 뒤 유방이 가장 부드러운 시기에 하는 것이 좋아요. 만약 자궁적출을 했거나 폐경기가 지난 여성은 한 달에 하루 날을 정해서 정기적으로 검사하면 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8mkf8/btrT9XWbjs7/Jd4sPsKk8C9p1xEqqugFb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wF0O1/btrT5siTxQY/EQuudRVOGKKDqw5EfUzk61/img.jpg)
최근에는 결혼과 임신 연령대가 높아지면서 임신 당시 유방암에 걸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유방암 검진 주기가 임신 기간과 겹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유방암 검사가 엑스레이를 이용하기 때문에 태아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걱정하실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SckNT/btrT8plqgRr/DsOh0DPPt1gQKbLRBBn891/img.jpg)
하지만 유방암 검사는 임신 중은 물론 출산 이후나 모유를 수유하는 도중에도 안전하게 받을 수 있습니다. 간혹 임신 중에 유방암 진단을 받기도 해서 주기적인 검사는 반드시 필요합니다. 임신 초기에 유방암 진단을 받게 되면 태아에게 전이될까 걱정이 될 수 있지만, 수술이나 항암치료가 어렵다는 점을 제외하면 아직까지 산모의 유방암이 태아에게 전이되었다는 보고는 없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WB5oa/btrT5rqNJZl/NWIlgU0wawvmtRL8dmtaEK/img.jpg)
출산 연령이 늦어질수록 임신 계획 시 처음부터 유방암 검사를 함께 받는 것이 좋으며, 임신 중이라 하더라도 안전하게 검사할 수 있기 때문에 유방에서 혹이나 멍울이 만져지거나 특별한 증상이 나타난 경우 늦지 않게 연세하와유외과 내원하셔서 상담과 검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유방클리닉 > 유방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리유방외과 유방 주변 피부가 거칠어졌어요 (0) | 2022.12.26 |
---|---|
재발 위험 높은 유방암 증상 자가진단 [잠실외과] (0) | 2022.12.23 |
[송파유방외과] 유방조직검사 흉터 및 통증 걱정된다면 맘모톰리볼브EX (0) | 2022.12.19 |
평상시 관리가 가장 중요한 유방암 석촌역유방외과 (0) | 2022.12.19 |
강동구유방외과 겨드랑이 멍울, 유방암인가요? (0) | 2022.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