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사례

유방 섬유선종과 유방통증

잠실연세하와유외과 2020. 8. 18. 13:28

유방 섬유선종과 유방통증

안녕하세요, 하와유외과 임종원입니다.

오늘은 유방 섬유선종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섬유선종

유방에 생기는 가장 흔한 양성 종양으로,

20대 초반에서 40대 사이의 젊은 여성분들에게서 자주 발생합니다.

 

섬유선종이 생기는 원인은 정확하게 밝혀진 정보는 없지만,

여성호르몬의 영향과 젖을 분비하는 유선의 말단 부위와 그 주위의 결합조직이 증식하여 만들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서 젊은 여성분들께서 가슴에 만져지는 몽우리로 병원에 내원하시게 되며,

유방초음파 등의 검사 후 혹의 모양과 크기 등의 이상 여부에 따라 조직검사까지 하게 됩니다.

유방 조직검사 후 섬유선종으로 진단되면,

꼭 제거해야 하는지,, 아니면 지켜봐도 되는지 궁금해 하십니다.

섬유선종은 무조건 제거해야만 하는 종양은 아닙니다.

통증을 유발하지 않으며, 만져지지도 않을뿐더러 크기가 작다면

즉, 유방 검진에서 우연히 발견된 섬유선종의 경우는 정기적인 추적관찰을 하면서 제거하지 않고 지켜볼 수 있습니다.

정기적인 추적관찰을 하는 이유는

조직검사가 매우 정확하다 손치더라도,

섬유선종이 엽상 종양으로 변하는 경우도 있고,

드물지만 섬유선종 내부에서 유방암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입니다.

정기적인 유방초음파 추적관찰 중

혹의 크기가 20% 이상으로 커지는 경우에는

엽상종양이나 유방암의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절제를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섬유선종으로 불편감과 통증을 유발하는 경우,

진단 후 정기적인 추적관찰을 받을 수 없는 상황이거나, 혹으로 인한 불안감이 있을 경우에는 제거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섬유선종 제거는 4mm 크기의 피부 절개를 통한

맘모톰을 통하여 국소마취하에 짧은 시간안에 제거하고 있습니다.

섬유선종은 양성 질환이지만,

암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어서, 초기에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겠습니다.

하와유외과는 고분별능 초음파를 통하여 발견한 유방 종괴를 유방암 위험도에 따라 분류하는

BI-RADS 시스템에 의거하여 안전하게 총조직검사하여 진단하고 있습니다.

체계적인 진료와 정확한 진단을 통하여 연속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항상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