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클리닉/유방질환

송파구외과 유선염 증상인가? 의심돼요

잠실연세하와유외과 2023. 4. 14. 15:40

송파구외과 연세하와유외과

유선염 증상인가? 의심돼요

유선염이란

흔히 젖몸살이라 부르며 세균성 감염으로

나타나는 증상을 유선염이라 합니다.

젖샘 조직에서 오는 급성 감염이며

산욕기와 수유기에 발생하는 세균이

유관을 통해 침입하여 발생합니다.

송파구외과 연세하와유외과에서

좀 더 자세히 알아볼까요.

대개 산후 일주일 이내로는

잘 발생하지 않으며 3~4주가 지났을 때

나타나기 시작하는 유선염은

아기가 감염원이 되어 발생하는데요,

엄마가 아기에게 수유를 할 때

신생아의 비강 인후에 존재하는 병원균이

유두의 피부를 통해 침투하여 감염이

일어나 유선염이 되는 것이죠.

유선염의 증상은

∨ 유방 통증과 뜨끈한 열감

∨ 피부가 화끈거리는 느낌

∨ 피부가 붉어지는 현상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림프관을 따라 적색선이 생기고

단단해지면서 겨드랑이 림프절이

커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보통 한 쪽 유방에만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인 유선염 증상입니다.

유선염의 발병 원인

∨ 잘못된 수유 방법

∨ 적은 수유 횟수

∨ 짧은 수유 시간

∨ 꽉 끼는 속옷 착용

유선염은 세균이 유두에 발생한

상처로 침입하여 내부에 고인 젖에

자라며 진행되는 질환입니다.

유두가 갈라졌거나 젖 구멍이 막히면

발생할 확률이 늘어나기 때문에

통풍이 잘 되는 속옷을 입도록 하며

유방을 압박하지 않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수유를 자주 하지 않거나

빈혈, 스트레스 등으로 면역력이 저하된

여성의 경우에도 쉽게 발생하는 편입니다.

유선염 종류

① 급성 화농성 유선염

포도상구균이나 연쇄상구균에 의해

유방 내부에 세균성 감염이 된 것입니다.

유두 표면의 작은 상처로 세균이 침입하여

유관염이 생기고 이 유관염이 진행되며

유선에까지 염증이 발생하게 되죠.

모유 수유를 하는 여성의 30% 정도는

유선염을 경험한다고 해요.

② 만성 유선염

급성 화농성 유선염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였을 때 만성화된 상태를 말하며

수유가 끝난 후 오랜 기간이 지난 뒤에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나타나는 증상은 비슷하나

멍울이 맺히는 경우도 발생하는데요,

다른 증상은 급성 화농성 유선염보다는

심하지 않고 가벼운 편이지만

멍울이 맺히면 수술을 고려해야 합니다.

③ 수유와 무관한 유관염

폐경기 전후에 주로 나타나며

유방 전체 혹은 일부에 멍울이 맺힙니다.

통증이나 염증반응 증상은 특별히 없으며

유방 피부에 주름이 생기거나 피부가 헐어

움푹 패이게 되는 현상으로 나타납니다.

딱히 치료할 필요는 없다 하더라도

유방암과의 감별을 위해서라면

송파구외과 연세하와유외과로 내원하여

정밀 검진을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유선염을 진단하려면 송파구외과

연세하와유외과로 내원하여

유방 검진을 시행하시면 되는데요,

농양이 있거나 반복적인 유선염이

있었던 경우라면 결절이 생길 수도 있어

유방암과의 감별을 위해 X-ray나

초음파 외에 조직 검사를 시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유선염은 내부에 고인 젖을 배출하는 것도

치료에 큰 도움이 되기 때문에

모유 수유를 지속할 것을 권장합니다.

그러나 증상이 너무 심하거나

진행된 정도가 심하여 전신마취가

필요한 치료가 필요하다면

수유를 중단하시길 바랍니다.

유선염 증상 상담과 치료는

송파구외과 연세하와유외과에서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