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클리닉/유방질환

유방의 섬유선종 꼭 제거해야 하나요?

잠실연세하와유외과 2019. 8. 26. 10:26



유방의 섬유선종 꼭 제거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잠실 유방외과 하와유 임종원입니다.

유방 조직검사 후 섬유선종이라는 이야기를 많이 들어보셨을겁니다.

오늘은 섬유선종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섬유선종

유방에서 생기는 가장 흔한 양성 종양으로,

20대 초반에서 40대 사이의 젊은 여성분들에게서 자주 발생합니다.

정확한 발생원인은 알지 못하지만,

젖을 분비하는 유선의 말단 부위와 그 주위의 결합조직이

증식하여 만들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서 젊은 여성분들 중에서 만져지는 가슴 몽우리로 병원에 내원하시게 되며,

유방초음파 등의 검사 후 혹 모양, 크기 등의 이상 여부에 따라

조직검사까지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유방 조직검사 후 섬유선종으로 진단되면,

▶꼭 제거해야 하는지,,

▶ 아니면 지켜봐도 되는지 많이 물어보십니다.

일반적으로 혹(=섬유선종)으로 인하여 통증이나 불편감이 동반하거나,

만져질 정도의 크기의 혹에 대하여는 제거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하지만 통증을 유발하지 않으며, 만져지지도 않았고,

다만, 유방 검진에서 우연히 발견된 섬유선종의 경우는

정기적인 추적관찰을 하면서 제거하지 않고 지켜볼 수도 있습니다.

정기적인 추적관찰을 하는 이유는,,

조직검사가 매우 정확하다 손치더라도,

섬유선종이 엽상 종양으로 변하는 경우도 있고,

섬유선종 내부에서 유방암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정기적인 유방초음파 추적관찰 중

혹의 크기가 20% 이상으로 커지는 경우,

엽상종양이나 유방암의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절제를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섬유선종으로 진단 후 정기적인 추적관찰을 받을 수 없는 상황이거나,

혹으로 인한 불안감이 있을 경우에는 제거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섬유선종 제거는 4~5mm 크기의 피부 절개를 통한

진공보조 유방생검 (ex, 맘모톰, 벡스코어)을 통하여

국소마취하에 간단하게 제거하고 있습니다.







섬유선종은 양성 질환이지만, 암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어서,

초기에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겠습니다.

항상 체계적이고 정확하게 진료합니다.

감사합니다.












#섬유선종 #잠실하와유외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