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상선클리닉/갑상선질환

갑상선결절의 올바른 대처방법은? [잠실외과]

잠실연세하와유외과 2020. 12. 1. 18:47

갑상선결절의 올바른 대처방법은?

[잠실외과]

 

 

안녕하세요, 오늘 연세하와유외과에서는

갑상선결절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우선 갑상선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을 드리자면,

목의 한가운데에서 앞으로 튀어나온 물렁뼈의

아래쪽 기도 주위를 감싸고 있는 내분비선입니다.

 

주된 역할은 호르몬을 분비함으로써 체온을

유지하거나 신체 대사의 균형으 유지하는 것이죠.

 

그 외에도 칼시토닌을 분비하기도 하는데요.

이 칼시토닌은 뼈와 신장에 작용하여 혈중

칼슘 수치를 낮춰주기도 합니다.

 

 

 

 

이와 같은 갑상선이 부분적으로 비대해짐으로써

생기는 병을 갑상선결절이라 부릅니다. 전 인구의

5% 내외에서 발견된다고 할 정도로 매우 흔하죠.

 

특히 노화가 진행될수록 발생률이 점점 증가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남성보다는 여성에게 3~4배

정도 발병하기 쉽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발생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호르몬 체계의 이상, 면역기능의 저하, 방사선

노출, 다양한 환경적 요인과 유전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측됩니다.

 

그리고 주 증상은 성대를 침범하여 목이 쉬거나,

기침이 나오거나, 기도 압박으로 호흡이

힘들어지는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갑상선결절은 흡인생검침에 의해

양성으로 판명된 대부분은 자각 증상이 없고

안정적입니다. 그래서 별도의 치료를 요하지는 않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커다란 갑상선 결절은 다양한

삶의 질 저하를 일으키므로 시급히 절제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연세하와유외과에서는 갑상선 고주파 절제술이라는

치료법을 권장드립니다.

 

 

 

이 치료법은 절제하고자 하는 부위에 전극을

넣고 고주파 전류를 통해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발생한 열로 갑상선의 종양을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혹시 이로 인해 흉터나 기타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을지 염려하는 분들이 있을 텐데요. 종양만

제거하기 때문에 갑상선 기능에 이상이 유발되거나

흉터가 생길 염려는 매우 적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