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강동구외과 갑상선 결절이 발생했을 때 검사 방법은?

잠실연세하와유외과 2024. 7. 19. 17:41

갑상선목 앞에 자리 잡고 있는 나비 모양의 내분비기관으로 신진대사를 조절하는 갑상선호르몬을 생성, 분비하는 역할을 해요. 이렇게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갑상선에 혹이 생기는 것갑상선 결절이라고 해요.

 

갑상선 결절 발생 원인은?

갑상선 결절이 발생하는 원인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다음과 같은 원인으로 인해 발생한다고 추정하고 있어요.

 

- 갑상선 질환 병력이 있는 경우

- 갑상선암, 여포암 가족력이 있는 경우

- 방사선에 노출된 경우

- 30~50대 여성

 

갑상선 결절은 가장 흔한 내분비질환 중 하나로 성인 중 20~40%가 발생하고 이 중 10~20% 만이 결절이 만져져요. 갑상선결절은 나이가 증가할수록 발생도 함께 증가해요.

 

갑상선결절은 양성과 악성으로 분류가 돼요. 대부분 양성 종양으로 나타나지만 악성 종양의 확률도 4~25% 정도로 나타나요. 결절의 크기가 커지거나 쉰 목소리가 나는 경우 갑상선암을 의심해 볼 수 있어요.

 

갑상선 결절이 발생하면 나타나는 증상은?

그렇다면 갑상선 결절이 발생하게 되면 어떠한 증상들이 나타나게 될까요?

 

- 목에 걸리는 듯한 이물감이 느껴짐

- 목 앞이 붓고 발열 증상이 나타남

- 결절로 인해 호흡곤란 혹은 연하곤란 증상이 나타남

- 목 앞부분을 만졌을 때 덩어리가 만져짐

- 목소리가 자주 쉬거나 잔기침이 많이 남

- 음식물을 삼키기가 힘들면

 

갑상선 결절 검사 방법은?

위와 같은 증상이 나타나 갑상선 결절이 의심돼 강동구외과 연세하와유외과에 내원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검사를 진행해요.

 

· 갑상선 기능 검사 - 혈액 속 갑상선 호르몬 농도를 검사에요.

· 갑상선 초음파검사 - 가장 정확한 검사로 초음파를 통해 모양과 위치, 개수 등을 파악할 수 있어요.

· 세침검사 - 주사기로 갑상선결절 세포를 흡인해 관찰하는 방법으로 1~2분 내외로 빠른 진단이 가능한 검사예요.

 

대부분 갑상선 결절은 추적검사를 진행하지만, 결절이 커지거나 목이 답답함 들의 일상생활에 불편을 줄 경우 갑상선 고주파 절제술을 시행할 수 있어요.

 

고주파 절제술은 결절 부위에 전극을 넣어 열을 발생시켜 종양을 제거하는 방식의 시술이에요. 전신마취가 아닌 국소마취로 진행되기 때문에 부담이 적고 시술 시간이 짧으며 부작용이 적어요.

 

고주파 절제술 이후 주의 사항

- 시술 부위를 만지거나, 목을 많이 움직이지 않도록 주의하기

- 시술 후 일주일부터 결절의 크기가 감소하기 시작함

- 시술 후 약 일주일간 목이 더 붓는 느낌이 들 수 있음

- 치료 부위가 지속적으로 붓는다면 손으로 지긋이 누르고 내원해야 함

 

갑상선 결절 예방하기 위해서는?

갑상선 결절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해야 해요.

 

- 정기적으로 검진받기

- 다양한 영양소 골고루 섭취하기

- 흡연, 간접흡연 피하기

- 스트레스 조절하기

 

갑상선은 우리 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관 중 하나로 갑상선에 이상이 생기면 그로 인한 증상이 전신에 나타나요. 그렇기 때문에 평소에 갑상선을 관리하고 정기검진을 통해 예방하는 것이 좋아요.

또한 갑상선에 이상이 생겼을 시 병원에 내원해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