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느 날 가슴에서 고무공처럼 느껴지는 움직이는 멍울이 생긴다면 유방암이 아닌지 의심하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그 멍울은 유방암이 아닌 섬유선종일 수도 있습니다.

섬유선종은 유방에서 생기는 가장 흔한 양성 종양으로 20~30대의 젊은 여성에게 주로 나타나며 연령이 높아질수록 발병률이 점차 낮아집니다. 특징은 경계가 분명하고 잘 움직이며 대부분 통증이 없다는 것입니다. 유방이 함몰돼 있거나 변형되지 않고 유방 한쪽에서만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섬유선종이 생기는 원인은 명확하지 않으나 젖을 분비하는 유선 말단 부위의 과다한 증식과 이에 따른 유방 조직의 변형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양성종양이라 불편하지 않거나, 크기가 커지지 않으면 제거할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섬유선종을 제거해야 합니다.
- 크기가 2cm 이상으로 커진 경우
- 통증을 유발하며 불편함이 지속되는 경우
- 크기가 점점 커지는 경우
- 손에 만져질 정도로 단단한 경우
- 영상 소견과 병리 소견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 폐경 이후 발견된 경우
- 초음파상 경계가 불분명한 경우
- 엽상종에서 균열 소견이 보이는 경우

강동구외과 연세하와유외과에서는 유방 초음파검사를 통해서 섬유선종의 크기, 위치, 모양 등을 파악합니다. 그리고 환자분에게 느껴지는 통증이나 증상을 토대로 제거할 것인지 추적검사를 할 것인지 진단을 합니다. 이때 처음에는 크기가 작았는데 점점 커졌다면 제거해야 합니다.

강동구외과 연세하와유외과에서는 맘모톰 리볼브 EX를 사용해 종양을 제거하고 있습니다. 맘모톰 리볼브는 조직을 제거하는 바늘의 길이를 3단계로 조절하여 정상 조직의 손실을 최소화합니다. 또한 병변 가까이에 접근시켜 조직을 바늘 내 홈으로 흡인한 후 체외로 적출하는 방법으로 유방질환의 진단부터 양성 종양 제거까지 가능한 원스톱 검사 장비입니다. 약 10~20분 정도 소요되며 국소마취를 하기 때문에 회복이 빠릅니다. 약 3mm의 작은 흉터만 남고 실밥을 따로 제거할 필요도 없습니다. 그리고 맘모톰 리볼브는 FDA의 승인을 받아 안전합니다. 시술 후 안내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맘모톰 안내 사항
1. 약간의 멍이 생길 수 있으나 자연히 사라지고 만약 멍이 오래가면 내원해야 합니다.
2. 시술 후 며칠간 통증이 있을 수 있고 진통제를 복용해도 무방합니다.
3. 시술 후 3일간은 샤워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4. 혈종은 2~3개월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흡수됩니다.
일반적인 섬유선종은 양성종양이고 유방암 발생위험도도 낮지만, 복합성 섬유선종은 유방암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평소 정기검진을 통해 건강을 챙기는 것을 추천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