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갑상선항진증의 대표적인 질환인 그레이브스병이 있습니다. 그레이브스병은 갑상선에 영향을 미치는 자가면역질환 중 하나입니다. 이 질환은 갑상선 세포 표면에 발현하는 갑상선 자극 호르몬 수용체 항체가 갑상선을 자극하여 호르몬을 과도하게 분비하도록 만듭니다. 그레이브스병은 원인불명의 갑상선질환으로서 남성보다 여성의 발병 비율이 높습니다.

정확하게 어떤 원인으로 그레이브스병이 발병하는지 밝혀지진 않았지만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 가족 중 그레이브스병 환자가 있는 경우
· 지속적인 스트레스 상태
· 과도한 흡연, 세균 감염
이러한 요인들이 면역체계에 문제를 일으켜 해당 질환을 발병시킨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 때문에 뚜렷한 예방법 또한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그레이브스병은 다른 질환들과 비슷한 증상으로 나타나거나 갑상선기능항진증의 증상을 띠고 있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런 증상들이 나타나면 빠른 시일 내에 정밀 검사를 받아보시기를 바랍니다.
잠실역외과 연세하와유외과에서는 그레이브스병이 발병되면 다음과 같은 증상들이 나타난다고 합니다.
● 일반 증상
- 만성 피로, 더위, 땀 분비의 증가, 체중 감소
● 정신/신경계통 증상
- 피로감, 불안, 우울감, 예민함, 무기력감, 두통, 손 떨림
● 갑상선 증상
- 목 앞쪽이 부어오르거나 갑상선이 비대해짐
● 안구 증상
- 안구의 돌출




● 순환기계통 증상
- 호흡곤란, 빠른맥, 고혈압, 부정맥, 맥압증대
● 소화기계통 증상
- 식욕 항진, 배변 횟수 증가, 설사
● 생식기계통 증상
- 무월경, 과소월경, 성욕 감퇴, 불임증
● 피부 증상
- 탈모, 색소침착, 손톱 박리

그레이브스병을 치료하는 방법으로는 갑상선 호르몬의 과도한 분비를 감소시키는 항갑상선제 복용과 방사성요오드 치료, 외과적 절제술 등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초기에 항갑상선제 복용을 통하여 치료 경과를 확인한 후 호전이 없다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약물치료
- 갑상선 호르몬 분비를 감소시키는 약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치료 방법입니다. 증상에 따라 약물 복용량을 조절하며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서는 의료진과 상담이 필요합니다.
●방사성요오드치료
- 갑상선 기능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입니다. 약물치료가 어렵거나 약물치료만으로는 호전이 없는 경우에 시행합니다. 다만 임신 중인 환자에게는 권장하지 않습니다.
●수술치료
- 위 치료 방법들에 호전이 없다면 외과적 절제술을 시행해 볼 수 있습니다. 단 수술 후 합병증이나 부작용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치료 방법은 환자의 증상 및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 때문에 의료진과 정확한 상담이 우선시되어야 합니다. 잠실역외과 연세하와유외과에서는 혈액검사 및 초음파검사들을 시행하여 치료 계획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그레이브스병은 방치하면 여러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초기에 치료하면 반응이 좋기 때문에, 병원에 방문하셔서 적절한 치료로 몸의 건강을 챙길 수 있기를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