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유기에 특히 조심해야 하는 유선염 증상과 치료법
[방이동외과]
![](https://blog.kakaocdn.net/dn/cjLQ34/btsCQ4rXPV0/NSdmda8pzRtVIXlpXlwVLK/img.png)
출산 후 모유수유를 진행하는 여성 분들이라면 유방 통증을 느끼거나 감기몸살처럼 열이 나는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 유선염, 즉 젖몸살을 의심해볼 수 있는데요. 유선염이란 모유수유 중 유선이 막혀 발생하는 질환으로, 유방에 열감이 느껴지고 통증이 발생합니다.
하지만 많은 분들이 유선염 증상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거나 단순한 냉찜질을 통해 열감과 통증을 가라앉히려고 노력합니다. 하지만 증상이 쉽게 호전되지 않으면 그때 병원을 가야 하는 것은 아닐까 걱정할 수 있는데요. 이럴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https://blog.kakaocdn.net/dn/bFOzFJ/btsCWNbsAWb/EFPX4Lubpfx8SCJrANj2b0/img.png)
우선 유선염이란, 어떤 원인에 의해 젖이 나오는 유선이 막혀 발생하는 염증 반응입니다. 모유 수유 중인 여성뿐 아니라 수유기가 아닌 여성에게도 발생할 수 있는 비교적 흔한 질환이에요. 만 18세에서 50세까지 가임기 여성에게 발생하며, 유방이 붓고 통증이 발생하며 응어리가 생기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다만 비수유기 여성보다는 수유 중인 여성에게 발생할 확률이 높은데요. 모유 수유 중에는 유선 조직과 젖샘 조직이 발달하여 세균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yiW3Q/btsC1oBXOIQ/cmUF5K14N0rtLHX9PFGZkk/img.png)
특히 모우수유 후 6주 간은 유선염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유방 청결을 꼼꼼히 하고 각별히 주의하는 것이 좋은데요. 유선염은 감기몸살처럼 고열과 오한, 관절통, 열감 등을 동반하기 때문에 젖몸살이라는 이름으로 많이 부르고 있습니다.
증상이 상대적으로 가볍다면 큰 불편함 없이 넘어갈 수 있으나, 증상이 심한 경우라면 유방이 붉게 변하거나 전체적으로 응어리가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집에서는 간단하게 냉찜질이나 마사지를 통해 이를 풀어줄 수 있으나,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병원에서 치료를 하는 것이 좋아요.
![](https://blog.kakaocdn.net/dn/pVGza/btsCZ80r6in/c6DLXiKKjBmf9PQ4MIuPwK/img.png)
유선염 발생 원인
- 선천적인 함몰 유두
- 당뇨와 같은 기저질환
- 잦은 음주와 흡연
- 심한 스트레스 및 과로
- 몸에 꽉 끼는 속옷 착용
여성은 출산 후 다양한 신체 변화를 겪습니다. 이런 유선염 역시 대표적인 수유기 질환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모든 경우에 발생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런 원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할 것 같아요. 또한 모유수유 중인 여성이라면 잘못된 수유 자세로 인해 유두에 상처가 생기고 그 틈으로 세균이 침입하여 발생하기도 하는데요. 면역력의 저하로 인해 더욱 잘 발생할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qB3v4/btsCU1ntDxC/HK1Tgj0pZruyMfMxAdZRDK/img.png)
유선염 발생 초기 가벼운 증상만 있을 때 냉찜질이나 마사지, 지속적인 수유로 자연적인 치유를 기대해보기도 하는데요. 농양이 있거나 염증 반응이 심한 경우라면 항생제 치료나 절개배농술 등을 이용하는 병원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수유기 질환은 언제나 발생할 수 있으며, 치유된다 하더라도 재발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방이동외과 연세하와유외과에서 적극적인 치료와 생활습관 관리를 병행하여 재발을 예방하는 것이 좋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W8tpv/btsCZ4DLbJJ/qnkeFiMkP2qSIcKKFQqJb1/img.jpg)
젖몸살 유선염은 오래 방치하면 농양이 차거나 염증이 심해질 수 있어 초기에 적극적인 대처로 증상을 악화시키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 평소 유선염을 예방하려면 유방을 항상 깨끗하게 하고, 젖이 내부에 고이지 않도록 자주 수유를 하거나 유축기를 이용해 배출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유두에 상처가 생기면 곧바로 치료하는 것이 좋으며, 꽉 끼는 속옷은 착용을 피하고 혈액순환이 제대로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유선염 에방에 좋은 방법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a88QA/btsCTUIT3z9/H2270eqQadmB6XcQGP5srk/img.png)
유선염 예방법
- 유방을 항상 청결하게 유지
- 젖이 내부에 고이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배출
- 상처가 생기면 곧바로 치료
- 꽉 끼는 속옷의 착용 지양
- 수유 횟수와 시간을 적절하게 유지
![](https://blog.kakaocdn.net/dn/HZhvN/btsCUYRQpyn/gGZrXUK64CZg4hF0H6qkP1/img.png)
'유방클리닉 > 유방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방 섬유선종 통증, 치료 필요한 경우는? [송파여성검진] (0) | 2024.01.24 |
---|---|
[강동구유방외과] 유방양성종양 맘모톰 시술 방법 (0) | 2024.01.24 |
유방통증은 유방암 증세일까? 잠실역유방외과에서 (0) | 2024.01.03 |
관내유두종 제거 안하면 암 되나요? 송파구유방외과 (0) | 2024.01.03 |
가슴에서 뭔가 만져질 때 섬유선종 증상과 원인 [광진구유방외과] (0) | 2024.01.03 |